소상공인의 공과금 등을 지원하는 ‘부담경감 크레딧’ 정기 접수가 지난달 29일 마감됐다.
예상 지원 규모를 웃도는 322만여 명이 신청해 높은 호응을 보였다.
17일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부담경감 크레딧 접수 인원은 총 322만28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정부가 추산한 예상 지원 규모(311만1000명)보다 10만9000여 명 많은 수치다.
부담경감 크레딧은 소상공인이 보유한 카드로 공과금과 4대 보험료 등을 결제하면 최대 50만원 한도 내에서 디지털 포인트(크레딧)가 자동 차감되는 제도다. 정부는 올해 1조5660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지난 9일 기준 사용 금액은 총 6860억 원을 넘어섰다. 사용처별로는 4대 보험료가 2186억 원(31.9%)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세(1850억 원·27%), 차량 연료비(1752억 원·25.5%), 통신비(718억 원·10.5%)가 뒤를 이었다.
지역별 신청 건수는 경기가 79만 건(24.6%)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54만 건·16.9%), 경남(22만 건·7.0%)이 뒤를 이었다. 세종은 1만7000건(0.5%)으로 가장 적었다.
중기부는 일부 신청자가 자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지난달 30일부터 예비 접수를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9800여 건이 신청됐다.
정부는 내년부터 부담경감 크레딧을 ‘소상공인 경영안정바우처’로 개편해 시행할 계획이다. 연매출 1억400만 원 미만 소상공인 약 230만 명을 대상으로 최대 25만 원의 바우처를 지급할 예정이다.
허재원 기자